신규 사업 타당성 검토
1. 신규사업 아이템의 선정
아이템은 될 수 있으면 많이 탐구하여 아래의 예비사업성 분석을 거쳐 점차 범위를 좁혀 적합한 아이템을 선정하는 것이 올바르다. 성공가능성이 높은 아이템은 첫째, 소비자의 만족도를 고려한 아이템, 성장기에 있는 아이템 등이며, 기제품의 경우 개선의 가능성(차별성)을 검토하여 성능과 소비자만족도가 우수해진다면 적합한 아이템이 될 수 있다. 성공가능성이 낮은 아이템은 신제품을 개발하여 소비자의 의식변화가 선행되어야 하는 아이템, 고가의 아이템 등이다.
기제품의 경우 첫째 소비자의 입장에서의 아이템. 소비자만족도를 위하여 소비자입장에서 아이템을 탐구해야 한다. 둘째, 기제품과의 차별성. 기제품과 차별성이 없으면 제품의 성장성과 위험성의 심각한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셋째, 비용절감의 고려. 일석이조의 효과이다. 비용절감은 곧 사업의 수익성과 연결된다.
2. 아이템의 예비사업성 분석
예비사업성 분석이란 아이템의 상대평가를 통하여 최적의 아이템을 선정하는 과정을 말한다. 아이템을 상품성, 시장성, 수익성, 성장성의 4가지로 분석하여 평점을 구해 각각의 아이템을 비교한다. 이외 고려할 점은 아이템에 대한 소비자 인식정도와 관련 업계의 현황 등이다.
3. 아이템의 사업타당성 분석
위의 절차로 선정된 아이템은 사업타당성 평가를 실시한다.
사업타당성 평가는 아래와 같이 평가요소와 세부검토사항으로 한다.
1. 상품성 평가
가. 적합성 평가
- 아이템에 대해 잘 아는 제품이나 공정인가?
2. 시장성 평가
가. 시장의 규모
- 예상되는 고객의 수는?
- 국내외 시장규모의 금액은 어느 정도인가?
나. 경쟁성
- 경쟁업체의 분포는 어떤가?
- 경쟁품과 비교했을 때 차별성과 가격은 어떤가?
다. 시장의 장래성
- 잠재고객의 증가는 있는가?
- 소비자의 필요성이 증가하는가?
3. 수익성
가. 생산비용의 효율성
- 적정비용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가?
- 생산공정이 간단하며, 효율성이 있는가?
나. 이윤 보장성
- 필요한 노동력이 안정적인가?
- 제조원가, 관리비, 인건비 등을 제외하여 이윤이 보장되는가?
4. 안정성
가. 위험성
- 적응력은 어느 정도인가?
- 기술적 진보에 대처 할 수 있는가?
나. 자금투입
- 초기 투자액은 어느 정도인가?
- 이익이 실현되는 기간은 어느 정도인가?
참고 자료 :
신규사업 사업성 검토 (배재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김철교 )
'직장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Waffle 관련신규사업 타당성 검토[스크랩] (0) | 2012.01.27 |
---|---|
신규사업 사업성 검토[스크랩] (0) | 2012.01.27 |
사업타당성 분석[스크랩] (0) | 2012.01.27 |
[스크랩] 왜 사업타당성 분석을 해야 하나? (0) | 2012.01.27 |
[스크랩] 몬티스타텔레콤 - 사업타당성 분석의 기본 체계 (0) | 2012.01.27 |